실상사(實相寺) | |||||
작성자 | 김** | 작성일 | 2014-02-03 | 조회수 | 552 |
---|---|---|---|---|---|
?실상사(實相寺)
지정번호 : 사적 제 309호
소 재 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시 대 : 신라시대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이다. 사적기(寺蹟記)에 따르면 창건은 통일신라시대인 828년(흥덕왕 3) 홍척(洪陟)이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로 자리를 잡은 데서 비롯된다. 선종(禪宗)이 처음 전래된 것은 신라 제36대 혜공왕 때인데, 발전을 못하다가 도의(道義)와 함께 입당(入唐), 수학하고 귀국한 증각대사 홍척이 흥덕왕의 초청으로 법을 강론함으로써 구산선문 중 으뜸 사찰로 발전하였다.
도의는 장흥 가지산에 들어가 보림사를 세웠고, 홍척은 이곳에 실상사를 세워 많은 제자를 배출, 전국에 포교하였는데 이들을 실상사파라 불렀다. 그의 제자로 수철(秀澈) ?편운(片雲) 두 대사가 나와 더욱 이 종산을 크게 번창시켰다. 그 후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되어 약 200년 동안 승려들은 부속암자인 백장암에서 기거하다가, 조선 제19대 숙종 대에 이르러 300여 명의 수도승들이 조정에 절의 중창을 상소하여 1700년(숙종 26)에 36동의 건물을 세웠다. 그러나 1882년(고종 19) 사찰 건물이 소실되는 수난을 겪고, 다시 여러 승려들의 힘으로 중건되어 현재에 이른다.
중요문화재로는 국보 제10호인 백장암 3층석탑, 보물 제33호인 수철화상능가보월탑(秀澈和尙楞伽寶月塔), 보물 제34호인 수철화상능가보월탑비, 보물 제36호인 부도(浮屠), 보물 제37호인 3층석탑 2기(基), 보물 제38호인 증각대사응료탑(凝寥塔), 보물 제39호인 증각대사응료탑비, 보물 제40호인 백장암 석등, 보물 제41호인 철제여래좌상(鐵製如來坐像), 보물 제420호인 백장암 청동은입사향로(靑銅銀入絲香爐), 보물 제421호인 약수암목조탱화(藥水庵木彫幀畵)가 있다.
|
- 첨부파일
- 실상사.bmp
-
이전글
- 이전 게시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 실상사 백장암삼층석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