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 | 역사·문화학과
본문바로가기
ender
커뮤니티
자료실

자료실

전등사약사전(傳燈寺藥師殿)
작성자 강** 작성일 2014-03-25 조회수 702
* 전등사약사전(傳燈寺藥師殿)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전등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불전.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건물. 보물 제179호. 건물의 형태는 방형으로, 내부는 통간(通間)으로 된 작은 불전(佛殿)이다. 막돌허튼층쌓기를 한 석축 위에 장대석으로 기단을 쌓았는데, 이 기단은 전면이 모두 계단형식으로 되어 있다. 기단 위에는 막돌초석을 놓고 약하게 배흘림을 준 두리기둥을 세워 기둥 윗몸을 창방으로 결구하였다. 기둥 위에는 물론 기둥 사이에도 공포(慊包)를 놓은 다포식이나, 다포식 건축물에서는 일반적으로 창방(昌枋) 위에 평방(平枋)을 놓고 그 위에 공포를 놓지만, 여기서는 평방이 없이 창방 위에 공포를 얹은 것이 주심포양식을 따르고 있다. 또한, 기둥과 기둥 사이에 있는 공간포(空間包)도 정면의 주간(柱間)에만 하나씩 놓여 다포식을 이루고 있을 뿐, 양 측면과 뒷면에는 공간포가 없는 주심포식을 따르고 있어 절충적인 공포양식을 보여준다. 공포의 짜임은 외일출목(外一出目)?내이출목(內二出目)으로서 초제공과 이제공의 살미첨차〔山彌首遮〕의 끝은 모두 앙서〔仰舌〕로 되어 있고, 앞뒷면의 기둥 위에 놓인 주심포작에서는 판형(板形)으로 살미첨차들이 붙고 초각(草刻)되어 있으나, 앞면의 기둥 위에 놓인 주간공포(柱間慊包)와 양 측면의 기둥 위에 놓인 주심공포에서는 교두형(翹頭形 : 圓弧形으로 깎아낸 모양)으로 되어 있음이 특이하다. 가구(架構)는 대들보를 앞뒤 평주(平柱) 위에 걸고, 양 측면 기둥 위에서 이 대들보에 용머리로 그 끝을 장식한 충량(衝樑)이 걸려 있으며, 대들보 위의 동자기둥이 받치는 종보〔宗樑〕부터는 우물천장을 가설하여 마무리짓고 있다. 팔작기와지붕으로 처마 끝에는 막새기와를 사용하였다. 창호(窓戶)는 전면에만 두었는데 빗살창호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文化財大觀-寶物 1-(韓國文化財保護協會, 大學堂,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