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 | |||||
작성자 | 김** | 작성일 | 2014-02-03 | 조회수 | 688 |
---|---|---|---|---|---|
▣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實相寺證覺大師凝蓼塔)
지정번호 : 보물 제 38호
소 재 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50 실상사
시 대 : 통일신라시대
실상사를 창건한 홍척(洪陟)스님이 입적한 뒤 얼마 되지 않은 9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증각(證覺)은 스님의 시호, 응료(凝蓼)는 부도의 이름이다. 전형적인 팔각원당형 부도로, 네모난 넓은 지대석 위에 층을 이루는 팔각 2단의 하대석이 놓였는데, 아래쪽에 구름무늬, 위쪽에 넓은 굄이 조각돼 있을 뿐 달리 장식은 없다. 하대석 위에는 높은 팔각 중석받침이 따로 놓여 있다. 팔각의 중석 각면에 안상(眼象)이 조각돼 있으며 안상 안에 공양비천상(供養飛天像)과 보살좌상(菩薩坐像)이 하나씩 조각되었다. 원형의 상대석은 얕은 2단 받침 위에 놓였는데, 3중의 앙련(仰蓮)이 조각되어 있다. 상대석 위에 매우 높은 팔각 별석이 탑신받침으로 놓여 있으며, 밑에는 높은 2단 굄이 있고, 위에는 복련이 조각된 갑석이 모각(模刻)되어 있다. 그 위에 놓인 팔각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우주가 모각되었고, 각 면 앞뒤에 문비형(門扉形)이 있고 그 좌우에 사천왕상이 조각되었다. 위쪽에 목조건물과 같은 각종 구조가 모각되었다. 지붕돌 밑에는 비천상이 조각되고 처마 끝에는 서까래가 조각되었으며, 낙수면에는 기왓골이 표현되었는데, 추녀 위에는 귀꽃이 붙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상륜부에는 앙화와 보륜 보주가 남아 있다.
|
- 첨부파일
- 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jpg
-
이전글
- 실상사 삼층석탑
-
다음글
- 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비